디딤돌 기응 문제를 풀면서 어려워했던 내용에 대해 정리하는 오답노트입니다.
목차
동전을 쌓은 높이 구하기 문제
이번은 4학년 1학기 첫번째 단원인 '큰 수'에서 어려워했던 문제를 정리하고, 3학년 1학기에 배웠던 내용 중 아이가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 하고 넘어갔던 부분을 발견하게 된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1번 문제
동전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상징물이 그려져 있습니다. 500원짜리 동전에 그려져 있는 그림은 학입니다. 학은 예부터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하는 동물이며 우리나라에서 신성한 동물로 여겨왔습니다. 500원짜리 동전 100개를 쌓은 높이는 약 19 cm라고 합니다. 5000만원을 500원짜리 동전으로만 쌓는다면 쌓은 높이는 약 몇 m가 될까요?
풀이
1. 500원짜리 동전 몇 개가 있어야 5000만원이 되는지 알아봅니다.
- 500원짜리 동전 10개 있으면 5000원 (5천원)
- 500원짜리 동전 100개 있으면 50000원 (5만원)
- 500원짜리 동전 1000개 있으면 500000원 (50만원)
- 500원짜리 동전 10000개 있으면 5000000원 (500만원)
- 500원짜리 동전 100000개 있으면 50000000원 (5000만원)
동전 100000개 있어야 합니다.
2. 쌓은 동전의 개수를 이용하여 동전을 쌓은 높이를 구합니다.
- 동전 100개의 높이는 약 19 cm
- 동전 1000개의 높이는 약 190 cm
- 동전 10000개의 높이는 약 1900 cm
- 동전 100000개의 높이는 약 19000 cm
동전 100000개를 쌓은 높이는 약 19000 cm (약 190 m) 입니다.
어려웠던 포인트
동전의 수에 따라 높이가 비례해서 높아지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단위가 커지면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적은 수의 동전으로 높이가 비례해서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2번 문제
10원짜리 동전에 그려져 있는 그림은 다보탑입니다. 다보탑은 경주 불국사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탑입니다. 10원짜리 동전 100개를 쌓은 높이가 약 16 cm라고 할 때 100억원을 10원짜리 동전으로만 쌓는다면 높이는 약 몇 km가 될까요?
풀이
1. 10원짜리 동전 몇 개가 있어야 100억원이 되는지 알아봅니다.
- 10원짜리 동전 10개 있으면 100원
- 10원짜리 동전 100개 있으면 1000원
- 10원짜리 동전 1000개 있으면 10000원 (1만원)
- 10원짜리 동전 10000개 있으면 100000원 (10만원)
- 10원짜리 동전 100000개 있으면 1000000원 (100만원)
- 10원짜리 동전 1000000개 있으면 10000000원 (1000만원)
- 10원짜리 동전 10000000개 있으면 100000000원 (1억원)
- 10원짜리 동전 100000000개 있으면 1000000000원 (10억원)
- 10원짜리 동전 1000000000개 있으면 10000000000원 (100억원)
동전 1000000000개 있어야 합니다.
2. 쌓은 동전의 개수를 이용하여 동전을 쌓은 높이를 구합니다.
- 동전 100개의 높이는 약 16 cm
- 동전 1000개의 높이는 약 160 cm
- 동전 10000개의 높이는 약 1600 cm
- 동전 100000개의 높이는 약 16000 cm
- 동전 1000000개의 높이는 약 160000 cm
- 동전 10000000개의 높이는 약 1600000 cm
- 동전 100000000개의 높이는 약 16000000 cm
- 동전 1000000000개의 높이는 약 160000000 cm
동전 1000000000개를 쌓은 높이는 약 160000000 cm (약 1600000 m, 약 1600 km) 입니다.
어려웠던 포인트
이 문제는 이전 문제와 동일한 문제인데, 어려워했던 부분은 km 와 m 의 단위 환산 부분이었습니다.
km 와 m 단위 환산을 했던 부분을 확인해보니 3학년 1학기 길이와 시간 단원에서 배웠던 내용이었습니다. 문제집을 확인하던 중 예전에 아이가 km, m, cm 단위 환산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표를 그려 설명해주었던 포스터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부족한 부분 체크하는 방법
MAP 테스트에서 아이가 Measure 영역을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이라고 알려주었을 때는 미국과 한국의 단위가 달라서 잘 몰랐나보다 하고 생각했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MAP 테스트
이번 글은 얼마 전에 우연찮게 알게 되어 시험을 본 MAP(Measure of Academic Progress) 테스트에 대해 정리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MAP 테스트먼저, MAP 테스트를 치루고 나면 아래와 같은 결
wide-shallow.tistory.com
아이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 한 부분을 찾기 위해 학원을 입학할 때 치루는 레벨테스트를 이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레벨테스트를 보고 결과지를 확인하면 영역별 강점, 약점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아이의 현재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 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아이와 함께 이야기해서 3학년 1학기 길이와 시간 단원에서 길이에 해당 하는 부분을 다시 한번 풀어보기로 했습니다.
아이 교육에 대해 관심 있으신 분들은 편하게 연락 또는 댓글 달아주세요.
'교육 >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경시] 2025년 성대 경시 (2024년 수상권 커트라인) (6) | 2025.01.21 |
---|---|
[수학][씨매스][기프티드] 계단 오르기 문제 (0) | 2025.01.18 |
[수학][씨매스][기프티드] 징검다리 문제 (0) | 2025.01.17 |
[수학][시매쓰][기프티드] 랭퍼드 문제 (2) | 2024.04.27 |
[수학][최상위] 파스칼의 삼각형 (10) | 2024.02.27 |